인도 읽어보기/내가 쓰는 인도이야기

[양반장의 인도이야기 #.6] 힌두교

첸나이 양반장 2007. 10. 10. 04:32

 안녕하세요. 인도 파코즌 양우성입니다. 이번 이야기는 힌두교에 대한 것입니다. 글이 굉장히 오랜만에 올라가죠? 이 따뜻한, 아니 더운 나라에도 감기는 있답니다. 감기에 제대로 걸려 골골대는 통에 글을 통 못썼네요. 다시 회복했으니, 열심히 올리겠습니다. 그리고 제 카메라가 고쳐져서 한국으로 왔답니다. 2주 후면 제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땐, 맛난 것들 다 찍어서 올려드릴게요. 하하하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힌두교란

 힌두교는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입니다. 왜냐고요? 세계의 3대 문명 중 하나인 인더스강, 겐지스강과 데칸고원을 더불어 인도 반도의 인접 지역과 아시아를 둘러싼 지역의 고대문명에서 발생되었기 때문이죠. (저도 이렇게 오래된 줄 몰랐어요. 이번에 새로이 공부하며 알게되었죠.

10~11억쯤 되는 힌두인들은 전세계에 걸쳐 살고 있고요, 인도, 네팔,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싱가폴,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에 옛날부터 정착하여 살고 있죠. 그리고 현재는 소수이지만, 세계 이곳 저곳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번에 브리트니 스피어스도 아기를 데리고 힌두의식을 치뤘다는 기사가 나왔더군요.)

솔직히 힌두교는 유교보다 더 강한 문화적 종교입니다. 카스트를 만들어낸 장본이기도 하고요, 힌두교는 인도인에게 문화이며 삶입니다.

 

 힌두교는 삶의 길이라는 신앙으로 태어나서부터 삶의 모든 것에 영향을 주고, 죽음 후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힌두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창시자도 없고, 거룩한 성서도 없습니다. 다만, 계율, 신앙요법들과 신화를 기록한 마하바라따(Mahabharata)’라마야나(Ramayana)가 있고, ‘스루띠(Sruti)’라 불리는 서적들이 있습니다. 이 책들은 힌두 철학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본질과 어떻게 살아야 하는 안내서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힌두교의 가장 중요한 상징입니다. OM (Aum, )이죠. 이것은 신의 전능한 힘을 상징하고요,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라는 뜻이죠. 

힌두인들은 인간의 이해를 넘어 시간, 공간, 형상을 넘어서 하나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 많은 형상과 이름을 지닌 하나의 신이죠. 기독교에서 하나님, 예수님, 성령님 이 세가지가 하나임을 믿는 것과 같이요

힌두인들은 한 신이 각기 다른 형상을 하고 집결, 구성되어 있다고 믿습니다. 힌두인들은 신을 한 가족같이 남자 형상과 더불어 여자 형상으로 보기도 합니다.

 

 

 가운데가 비시뉴(Vishnu), 왼쪽이 브라마(Brahma), 오른쪽이 시바(Shiva)입니다. 비시뉴는 우주의 유지자, 보존자이고, 브라마는 창조자이고, 시바는 파괴자입니다.

비시뉴는 하늘에 살면서 세상의 질서가 흔들리게 되면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여 이를 바로잡습니다. 그는 4개의 팔을 가지고 있고, 푸르스름한 피부색을 가지고 있죠. 그는 휠과 바다소라를 가지고 있는데, 휠은 창조와 파괴의 힘과 우주를 나타내고, 바다소라는 물과 존재의 기원에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비쉬누는 10개의 화신을 가지고 있죠. 10개의 화신 중에는 라마(Rama), 크리슈나(Krishina), 부다(Buddha) 등 유명한 신들이 있죠. (불교의 창시자인 부다가 힌두신의 화신 중 하나라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시바는 3개의 눈을 가지고 있고, 세 번째 눈은 미간에 위치하고 항상 감겨있습니다. 그러나 존재의 사멸을 위해서 그 눈이 사용되죠. 그리고 시바는 명상을 통해 수련해 저 눈이 수련의 상징이라고도 하죠. 그는 4개의 팔을 가지고 있고, 삼지창과 도끼, 그리고 담루를 가지고 있습니다. 삼지창, 도끼는 모두 파괴의 도구이고, 담루는 모래시계 같은 것이죠. 남인도에서 매우 인기 좋은 신이라서 사원이 아주 많답니다

 브라마는 원래 5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데 시바의 3번째 눈에 의해 태워져서 4개만 남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4개중에 1개는 보여주지 않고 3개만 사람들에게 보여준다고 하네요. 그는 비시뉴의 배꼽에서 태어났고, 연꽃을 상징하죠. , 질서적인 창조와 확장이라고 합니다. 브라마도 4개의 팔을 가지고 있는데, 묵주,물 항아리, 경전, 수저를 가지고 있죠. 묵주는 인류의 시간을 나타내고, 물 항아리는 세상이 물로부터 발전해 왔음을 의미합니다. 브라마의 사원은 별로 없는데, 비시뉴에게서 태어나서 비시뉴의 사원에 함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힌두교의 신은 일일이 열거할 수가 없어요. 저렇게 힌두의 대표 3신은 각각의 화신을 가지고 있고, 부인에 자식들에 아버지에 스승에그렇게 해서 힌두교의 신은 무려 3 3천이라고 합니다. 솔직히 자신들도 잘 알지 못할 것 같습니다. 워낙 많아서 세다가 포기하는거죠.

 힌두교의 숭배에 대해서 살펴보죠. 힌두교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경향에 따라 다릅니다. 의식숭배나, 헌납, , 코코넛, 과일, , 기름을 태운 불, 고체 석유, 찬양 등등의 모습으로 숭배하죠. 그리고 숭배의 대상은 참 다양합니다. 신이 워낙 많으니까 이 사람 저 사람이 숭배하는 신도 다릅니다. 대부분의 가게에는 작은 사원이라고 해야 하나요? 신의 상을 놓고, 초를 켜고, 꽃과 그림을 치장을 하죠. 가게에는 부를 상징하는 가네쉬(Ganesh)가 많죠. 가네쉬는 시바의 장남이랍니다. 코끼리 얼굴에 4개의 팔을 가지고 있고요. 정말 인기가 많아서 가네쉬 날은 아주 큰 축제랍니다.

 

 

 그리고 힌두인들은 대부분이 이마에 점을 찍거나 이마에 선을 긋고 하는데요. 이것은 모양이나 색깔 별로 참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띨라까(Tilaka), 보뚜(Bottu), 인디야(Indiya), 꿈꿈(Kumkum), 빈디(Bindi) 등이 있죠. 이것은 그들의 신에 대한 신앙심과 다른 사람에게 힌두인임을 나타내는 것이죠. 요즘에는 이것이 패션의 한 부분처럼도 생각되어 여성들은 옷에 어울리는 색으로 찍고, 또 스티커 형식으로 된 것들도 나오고 있죠.

힌두인들은 채식주의자들을 바탕으로 무폭력, 무상해주의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원인과 결과의 법칙인 카르마(Karma, 갈마)를 믿고 있죠. 그리고 개인의 영혼을 정화하여 바른 카르마의 길로 가기 위해 몇 번이고 이 세상에 다시 되돌아 온다는 윤회를 믿고 있습니다. 바른 카르마의 길로 가면 영혼의 해방을 얻는다고 믿죠. 곧 신과 같이 된다고 생각하는 거죠.

 

 또 그들은 기독교의 천국, 불교의 해탈처럼 어떤 결과에 도달하려는 바램이 있습니다. 한가지는 탄생과 죽음의 해방인 묵샤(Moksha)이고, 다른 한가지는 신성한 영혼으로 신을 섬기며 그 곁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지 힌두의 제사는 굉장한 경사입니다. 오늘도 상여 하나를 봤는데요. 시신이 보이죠. 꽃으로 장식한 상여 가운데 시신을 놓고 그 주변에 매달려 꽃을 뿌리며 가고요, 상여 앞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들과 춤을 추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전 힌두인들의 화장문화가 참 부럽더라고요. 한번 상상해 보세요. 11억명의 인도인들이 화장 안 하고 다 매장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얼마나 많은 무덤이 필요할까요?)

위에서 카스트의 모태라고 했죠? 리그베다(Rigveda)는 성경 같은 것인데요, 여기서는 4개의 카스트 계급을 정의했습니다. 지금은 모 거의 구분이 없어 보이지만, 여전히 존재합니다.

  • 브라만(Brahmins): 성직자, 학자
  • 크샤트리아(Kshatriyas): 군인, 정치인
  • 바이샤(Vaishyas): 농사인, 지주, 상인
  • 수드라(Sudras): 농촌 사람, 하수인, 노동자

그리고 힌두교는 도적적인 이상주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아히사(Ahimsa): 비폭력
  • 사티아(Satya): 정직
  • 브라마카리아(Brahmacharya): 진실
  • 마이트리(Maitri): 우정
  • 다르마(Dharma): 의무
  • 카루나(Karuna): 동정
  • 비리야(Virya): 용기, 인내
  • 다마(Dama): 금욕
  • 샤우카(Shaucha): 순수

간디는 힌두의 비폭력주의를 잘 보여준 위인이죠.

 

~ 오늘도 참 길어졌네요. 원래 생각했던 건 힌두 신들의 대한 이야기를 좀 하려고 했는데, 정말 신이 많아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대략적인 힌두교에 대해 했습니다. 다음에는 인도의 축제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좀 지루할 수도 있는데, 재미있게 읽어주세요.